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프로스트펑크2 자원 설명 공략(서막 이후) 열의 감소 방법
    종합게임 공략/프로스트펑크2 2024. 9. 23. 16:36

    1. 자원 종류

    • 인구수 : 도시내에 총 인구수 시간이 지나면 증가한다. 도시관리를 못하면 사망자로인해 줄어든다.
    • 노동력 : 인구수에 비례하여 증가, 정책 및 정당집회등으로 비율이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 환자 : 질병이나 추위, 노동환경등으로 늘어난다. 관리하면 회복하여 노동력으로 돌아간다.
    • 열우표 : 모든 행동에 들어가는 돈, 주마다 세금처럼 걷히게된다. 서막에서는 고철로 표기된다.
    • 조립식 건물 : 모든 건설에 들어가는 자원, 직접채굴하거나 산업구역에서 생산한다.
    • 증기심 : 특수자원, 탐험을 통해 획득가능, 후반에 채굴도 가능해진다.
    • 열기 : 도시에 필요한 열기, 석탄or석유의 채굴량을 늘려야 늘어난다. 업그레이드시 효율이 올라간다.
    • 난방용자원 : 석탄 or 석유타일에서 채굴, 많은 양을 채굴하면 남는자원은 저장했다가 사용한다.
    • 주거 : 인구수 대비 필요한 주거수량이다. 초반에는 딱맞게 운용을 추천, 부족하면 추위가 증가한다.
    • 식량 : 인구수 대비 필요한 식량, 부족하면 배고픔이 증가한다.
    • 자재 : 인구수와 채굴 및 건물운용에 필요한 자재, 부족하면 비위생이 증가한다.
    • 물자 : 인구수 대비 필요한 물자, 생필품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부족하면 범죄가 오른다.
    • 경비대 : 가용한 군인숫자이다. 연구'사회' 감시탑에서 생산. 파벌과 관계가 좋으면 파벌에서 획득가능
    • 영구동토팀 : 탐험에 필요한 자원, 물류구역을 지으면 생겨나며 추가 건물을 통해 증가 가능

    2. 구역 : 단축키'B' 모든 구역은 설치후 클릭하여 확장이 가능하다. 확장하면 건물슬롯이 늘어나 건물을 지을 수 있다.

    구역 설치 화면

    • 거주지 구역 : 주거를 제공한다.
    • 식량 구역 : 식량타일에 건설이 가능하며 식량타일 여러개위에 지어도 생산량은 똑같다. 다만 더 오래 생산한다.
    • 채굴 구역 : 물자, 건설용자재, 석탄, 석유타일위에 짓게되며 타일마다 생산하는 자원이 변한다.
    • 산업 구역 : 아무타일위에 지을 수 있으며, 건설용자재 or 물자 둘중에 하나를 생산할 수 있다.
    • 물류 구역 : 영구동토팀 타일위에 지을 수 있으며, 탐험을 할 수 있게된다.

    모든 구역은 쇄빙이 완료된 구역에 설치가 가능하다.

    자원타일중 무한대표시가 있는 곳에서 무제한으로 자원생산이 가능하다.

    다만, 선택지에 따라 불가능할 수 있으며, 추가 연구 및 건물을 건설해야한다.

    산업및 채굴구역은 인근타일에 비위생이나 질병을 주기때문에 주거지역과는 떨어져설정하는것이 좋다.

    구역을 설치하면 노동력이 지속적으로 소모되기때문에 인구수가 적을때에는 딱맞게 설정하는게 좋다.

     

    3. 허브 : 단축키는 'H'

    허브 기본 화면

    허브는 각 자원을 저장할 수 있는 양을 늘려준다. 각구역에 맞는 허브를 인접해서 짓게되면 해당구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줄여준다.

    해당 효과를 받으려면 영향력이 3칸이상 효과표시가 채워져야한다.

    연구에서 추가적인 허브를 연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해금되는 허브는 총 7개가 있으며, 중반부가 지나면 필요성이 증가된다.

    자원이 필요량보다 높게되면, 자원이 저장되는데, 날씨가 추워지면 요구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저장공간을 늘려 자원을 비축해놓는것이 좋다.

    초반부에는 식량, 자재, 연료, 물자순으로 짓는것이 좋다.

     

    4. 정책(단축키'C') 및 연구(단축기'R')

    정책과 연구화면

    우측하단 건물(단축키'N')을 누르고 중앙탭에서 위원회 청사를 지으면 정책화면이 해금된다.

    연구는 거주구역(확장필요)에 연구시설을 지으면 해금된다.

    먼저 연구를 시행해야 각 정책이 해금되며, 파벌마다 선호하는 정책과 연구가 있고, 절대 반대하는 정책과 연구가 있다.

    모든 정책은 투표를 통해 시행되며, 협상을 통해 찬성표를 획득할 수 있다.

    협상을 진행하면, 이후 약속한 정책이나 연구, 건물건설이나 특정한 행동을 반드시 해줘야 해당 파벌과의 관계가 상향된다.

    모든 연구에는 열우표(돈)가 필요하다.

    주거지구역에 연구시설을 여러개지으면 연구속도가 빨라진다. 자원에 여유가 있다면 여러개 짓는것도 좋다.

    협상을 모든 파벌과 진행하면, 필요할때 협상이 불가능할수있다.(협상한 내용을 빨리 해결하면 상관없다.)

    따라서 협상은 필요한 투표수만큼만 진행하는 것이 좋다.

     

     

    5. 유용한 팁

    • 석탄광산 연구가 끝나면 영구동토에서 항골로 연구를 2번째로 해주는 것을 추천
    • 물류구역을 빠르게 설치하기위해서 쇄빙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 영구동토인과 뉴런던인은 일반 시민, 나머지는 정당가입인원수이다.
    • 자원에 문제가 없다면 노동력은 600정도 여유를 두고 운용하는것이 편하다.
    • 이주지 건설이 완료되면 자원수송을 통해 각 도시에 필요한 자원을 배분해야한다.

    자원수송하는 화면

    • 이주지는 자연적으로 인구가 늘지 않기때문에 인구수송을 통해 노동력을 늘려야한다.
    • 이주지는 자원타일에 필요한 만큼만 발전시켜놓고 관리하는게 좋다.
    • 서막에서 질서를 선택하면 충성가가, 신앙을 선택하면 신앙수호대가 파벌로 합류하며, 시간이 지나면 반대파가 등장한다.
    • 열의는 영구동토인과 뉴런던인에게 요구 가능하며, 해당파벌을 촉진해도 감소한다. 모든 파벌과 관계가 우호이상으로 유지해도 자동으로 열의가 감소하기때문에 초반에 관계를 최대로 유지하면 좋다.

    열의 감소 화면

    • 허브를 지을 곳을 미리 정해두고 구역건설을 하는것이 중반에 노동력을 아낄 수 있다.
    • 시작지점에서 저장을 해야 각 스토리 시작지점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새로시작은 서막부터 시작하게된다.

    튜토리얼이라 할 수있는 서막부분이 지나고나면 1장으로 넘어가는데, 친절하다고 보기 힘든 설명이 있고, 몇몇 아이콘은 매우 작게 표기되기 때문에 플레이할때 불편함이 있었다.

    스포가 되지 않는선에서 최대한 상세히 설명하기위해 서술했으며, 위에 내용을 알고 시행하다보면 나머지는 자연스럽게 익히게된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