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프로스트펑크2 공략 서막 시작하기전에 알아두면 좋은 팁
    종합게임 공략/프로스트펑크2 2024. 9. 23. 15:07

    프로스트펑크1(프펑1)을 재미있게 즐겼던 사람이라면 프로스트펑크2(이하 프펑2)의 출시를 기대했을 것이다.

     

    다만, 프펑1은 한개의 도시를 재건하고 발전시키는 게임이었다면, 프펑2는 도시를 재건하고 발전시키는 문명과 비슷한 궤를 보인다.

     

    즉, 프펑1에서 발전시킨 도시의 지배자가 죽고, 그 도시를 유산으로 문명을 하는 게임아라고 생각하면 된다.

     

    일단, 시작전에 중요한 점은 프펑2는 프펑1의 세계관을 유지한 문명이라는 점을 알아야한다.

     

    간단 요약

    초반에는 자원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우선순위에 따른 분산투자가 필요하다.

    0순위 쇄빙 & 거주구역 설치, 1순위 석유, 2순위 조립식건물, 3순위 식량, 4순위 허브, 5순위 자재

    왼쪽에 표기된 퀘스트를 순차적으로 클리어하는 것을 목표로 발전시키는게 좋다.

     

     

    1. 초반에 더 중요한 자원관리

    프로스트펑크2 자원 소개

    자원의 종류는 왼쪽부터, 총인구수, 가용한 노동력, 환자, 화폐, 조립식 건물, 열기, 난방에 필요한 자원, 주거, 식량, 자재, 물자이다.

     

    총인구수 : 서막이후 1장부터 시민들의 편의가 높으면 전체적인 인구수가 늘어난다. 인구수가 늘어나면 내가 쓸수 있는 노동력이 늘어나기 때문에 전반적인 관리가 필요한다.

     

    가용 노동력 : 쇄빙, 건물을 지을때(짓고나면 다시 반환), 지은 건물을 가동할때 사용된다.

     

    환자수 : 환자는 그대로 죽을 수도 나아서 노동력으로 복귀할수도 있다. 많으면 당연히 좋지 않다. 초반에는 신경 쓸 이유가 없다.

     

    화폐(돈) : 튜토에서는 고철이라고 표기되지만, 1장부터는 다른 명칭이다. 역할은 같기에 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1주마다 세금처럼 사람들에게 걷는 돈이기때문에 인구수가 늘어나면 같이 늘어난다.

    쇄빙, 건물을 지을때, 

     

    열기 : 도시에 제공되는 열기량이다. 구역 및 건물에는 필요한 총 열기가 있으며. 석탄 or 석유를 많이 채굴할수록 열기량이 높아지고, 필요한 열기를 모두 제공하면 남은 석탄 or 석유를 저장한다. 날씨가 추워지면 필요한 열기량이 높아지면서 더 많이 필요해진다.

     

    주거 : 사람들이 사는 구역을 말한다. 거주구역을 만들면 제공한다. 부족하면 사람들이 얼어죽는다.

     

    식량 : 채집하고 있는 식량, 부족하면 굶주림이 증가하면서 환자가 늘어나며, 긴장수치가 증가한다.

     

    자재 : 거주지구역, 채굴 및 채집구역 등 모든 건물이 유지되는데 필요한 자원, 부족하면 비위생수치가 증가한다.

     

    물자 : 튜토리얼 이후 나오는 자원으로 부족하면 범죄(1장부터)가 증가하게된다. 산업구역을 설치하고 클릭하여 자재로 생산한다.

     

    튜토리얼때는 주거지역을 2군데 설치하고, 석유를 채굴하고, 조립식건물을 채굴, 이후 식량구역을 채굴한다. 쇄빙에도 노동력이 필요하기때문에, 자원이 있는 타일까지 모두 쇄빙한 이후 구역을 건설하는 것을 추천한다.

     

    2. 쇄빙

    타일내에 건설구역을 만들기전에 얼음을 깨는 작업이다. 쇄빙을 하지 않으면 구역건설을 할 수 없다.

    쇄빙하는 방법

    노동력과 화폐(고철)가 없으면 쇄빙을 할 수 없다. 쇄빙작업을 다하게 되면 노동력은 다시 돌아오게된다.

    8칸을 선택한 이후 체크표시를 클릭해야 쇄빙을 시작한다.

    단축키는 'X'로 되어있으며, 시행중인 쇄빙을 중간에 취소할 수 없기때문에 초반에 자원이 있는 타일로 가는 길을 뚫어내는데 사용

    이미 뚫려있는 타일 바로 옆부터 클릭이 가능하기때문에 길을 이을때 밝게 나오는 타일부터 클릭이 된다.

    튜토리얼 기준으로는 쇄빙을 나중에 하려면 노동력이 부족해지기때문에 가동중인 구역의 노동력을 빼와야하는 일이 생길수있다.

    따라서 자원타일이 있는 곳은 모두 쇄빙한 이후에 건설구역을 설치하는게 낫다.(쉬움기준)

     

    3. 구역 설정

    단축키는 'B'이다. 쇄빙이 완료된 타일에 구역에 원하는 구역을 설치가능하다.

    설치할때 필요한 자원은 노동력, 화폐, 조립식건물 3가지이며, 모든구역은 설치후 일정 노동량과 자원을 필요로한다.

    모든 구역은 설치시작하면 중간에 취소할 수 없다. 건설이 완료된 이후에 철거를 하면 화폐(돈)와 조립식 건물 일부를 돌려받는다.

    거주구역 설치화면

    거주지 구역도 설치를 하면, 주거를 제공하는대신 노동력 100이 지속적으로 소모된다. 따라서 거주지구역을 필요이상으로 설치하면

    다른 구역을 설치할 노동력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튜토리얼구간(서막)에서는 2군데만 설치하면 더이상 설치할 필요가없다.

    모든 구역은 열기를 필요로하며 거주지구역은 40열기를 필요로하지만, 구역을 발전기 또는 다른 구역에 가깝게 3칸을 붙여서 지으면 +20열기 보너스를 받게된다.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타일수를 3칸 채워야 보너스를 받게된다. 1칸에 따른 부분 보너스는 없다.

    채굴구역 설치 화면

    자원타일에 따라 채굴되는 자원이 지정된다. 건설하는데 필요한 자원은 소모되고, 해당 자원이 모두 채굴되면 가동이 멈추게된다. 

    하나의 구역에서는 동일한 양의 자원을 생산한다. 즉, 자원타일이 가까이 있어서 여러개를 하나의 구역에 설치해도 생산량은 똑같다. 다만 더 오랜시간동안 생산할 수 있게 해준다. 자원이 모두 고갈되면 구역을 클릭후 철거하여 자원을 회수한다.

    채굴구역 상세화면

    구역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기 위해서는 요구량이 충족되어야한다.

    쇄빙이나 다른 건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노동력이 필요한데, 해당 구역에 노동력을 줄여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2교대는 각 구역마다 설정이 가능하며, 2교대를 시키게 되면 신뢰도(노란색)가 줄어든다.

    신뢰도가 모두 바닥나면 게임오버가 된다.

     

     

    3. 발전기 운용

    서막 발전기 화면(드레드 노트)

    난방용 자원을 채굴하면 발전기를 킬수있게된다. 발전기가 있는 구역을 클릭하여 발전기전원을 켜야 열기를 생산한다. 

    발전기가 생산하는 열량은 자원을 많이 캘수록 늘어난다. 요구되는 열량을 만족하면 난방용 자원(석탄 or 석유)을 저장한다.
    즉, 서막에서는 석유를 캐는 곳을 총 3개를 지을 수 있는데, 3개를 모두 짓게 되면 생산하는 열량이 최대치가 된다.

    날씨가 추워지면 필요한 열량이 더 많아지게 되고, 과부하를 키면 생산하는 열기가 더 많아지게된다. 필요에 따라 사용

     

    4. 허브

    단축키는 'H'이다. 자원이 필요한 양보다 많이 생산하게되면 자원이 저장되는데, 저장되는 총량을 늘려주는 창고역할이다.

    또한 허브에 가까운 구역에 필요한 노동력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다만, 인접에 3칸이 필요하기때문에 추가적인 쇄빙을 진행하며 인접3칸을 만들지, 아니면 노동력 감소효과를 받지않고

    그냥 지을지는 플레이어의 선택이다.

    허브도 노동력을 소모하기때문에, 많이 지어놓으면 다른 작업을 할 노동력이 부족해진다.

    튜토리얼에서는 2개의 식량 비축 허브가 필요로 한다.

    식량 비축 허브 화면

     

    5. 선택지

    서막을 플레이하다보면 여러가지 선택지가 나오게 된다. 선택지에 따라 이후 플레이에 변화가 생겨나게된다.

    서막이후 1장부터는 연구와 정책이 해금되는데, 사람들이 정당을 만들고 자신의 정당이 원하는 정책과 연구를 요구한다.

    서막에서 질서, 신앙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후 1장에서 나오는 정당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보면된다.

    잘모르겠다를 선택하는 경우 둘다 추가된다, 신앙수호대가 먼저나오고 진행하면서 충성가가 추가된다.. 또한 왼쪽의 메인 퀘스트를 진행하게되면, 분기점 선택이 나오는데

    각 선택지마다 스킬트리와 플레이스타일이 강제되기 때문에 다회차플레이가 요구된다.

    따라서 각시작지점마다 저장을 하는것이 좋다.

    파벌 이미지

     

    프로스트펑크2 추천이유

    프펑2의 서막은 튜토리얼로써 2~3회정도 재시도를 요구하는 정도라고 생각한다. 또한 1장부터는 서막에서 나오지 않았던 자원과 요소들이 나오기때문에 서막을 무난하게 클리어했다고 해서 쉽게 플레이가 가능하지는 않다.

    다만, 해당 요소들을 이해하고 요구사항들을 클리어하다보면 점점 플레이어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몰입을 할 수록 매력이 넘치는 게임이라고 볼 수 있다.

    초반의 어려움을 극복하면(매우쉬움 기준) 후반부에는 자원이 넘처나고 사람들의 모든 요구조건을 만족시켜줄 수 있게된다.

    프펑1을 즐기셨던분이라면 세밀한 부분이 너무 없는것 아니냐!라고 초반에는 느낄 수 있지만, 

    1장부터는 프펑1부터 즐겼던 요소들을 해금하여 즐길 수 있게되고, 오히려 정당이 생겨나면서 정치적인 요소도 재미있게 즐길 수 있게된다.

    프펑1을 즐겼던 유저라면 1장까지 플레이해보는걸 추천드린다.(서막 30분, 1장 1시간) 이후 스타일이 안맞다면 환불

    도시시뮬레이션게임을 좋아하는 유저라면 혹독하게 몰아치는 추위속에 도기경영을 즐길 수 있다.

    더운 날씨에 배경과 음악이 시원해서 좋다.

    플레이타임은 한번도 게임오버가 되지 않았다고 가정할때 6시간정도 스토리가 진행된다. 다만 선택지에 따라 엔딩의 변화가 있기때문에 모든 엔딩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다회차가 요구되는 시스템이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